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10)
사라진 바다 ‘테티스 해’의 흔적 찾기 사라진 바다 ‘테티스 해’의 흔적 찾기고대 판구조 재구성 연구가 밝히는 지질학의 미스터리우리가 아는 대륙과 해양은 고정된 것이 아닙니다. 지구의 지각은 수억 년 동안 끊임없이 이동하고 충돌하며 새로운 땅과 바다를 만들고 사라지게 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신비로운 존재가 바로 한때 유럽과 아시아, 아프리카 대륙 사이에 존재했던 ‘테티스 해(Tethys Ocean)’입니다.이 고대 바다는 현재는 지도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지만, 그 흔적은 산맥과 암석, 화석, 지질 구조 속에 남아 있습니다. 과연 테티스 해는 어떤 바다였고, 왜 사라졌으며, 지금 우리는 어떻게 그 흔적을 추적하고 있을까요?테티스 해의 기원 – 판구조론으로 본 탄생테티스 해는 약 2억 5천만 년 전, 고생대 말기에서 중생대 초기에 형성되었..
지구화학으로 본 핫스폿 기원 논쟁 – 하와이와 아이슬란드의 사례 비교 지구화학으로 본 핫스폿 기원 논쟁 – 하와이와 아이슬란드의 사례 비교뜨거운 마그마가 지표를 뚫고 분출되는 지역, ‘핫스폿’은 지질학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현상입니다.특히 하와이와 아이슬란드는 대표적인 핫스폿 지역으로서 전혀 다른 위치와 형성을 보여주지만, 공통적으로 지구 내부 깊숙한 곳에서부터의 열원과 관련이 있습니다.핫스폿이란 무엇인가?핫스폿(hotspot)은 대륙판이나 해양판의 경계가 아닌 곳에서 마그마가 상승해 화산 활동이 일어나는 지역을 말합니다.이러한 현상은 기존 판 구조론으로는 설명되지 않기 때문에, 그 기원에 대한 다양한 지질학적 해석이 제시되어 왔습니다.하와이와 아이슬란드, 핫스폿의 양대 사례하와이 제도는 태평양판 중앙에 위치한 고립된 해양 핫스폿 지역입니다.반면, 아이슬란드는 대서양 중앙해..
대륙붕과 해저 지형의 경제적 가치 대륙붕과 해저 지형의 경제적 가치자원, 어장, 해양 영토를 둘러싼 바닷속 전쟁바다 속에 감춰진 보물, 대륙붕대륙붕은 대륙의 가장자리에서 바다로 완만하게 이어지는 해저 지형으로, 수심이 얕고 면적이 넓습니다. 평균 수심은 약 200m 이하이며, 해양 면적의 7%를 차지하지만 경제적 가치만큼은 그 이상입니다.이 지역은 오랜 시간 동안 육지에서 흘러온 퇴적물들이 쌓여 자원이 풍부하고 생태계도 매우 활발합니다. 고대에는 육지였던 곳이 많아 지질학적 정보 역시 다양하며, 자원 탐사의 1차적인 대상이 되곤 합니다.대륙붕이 품은 자원의 보고석유와 천연가스의 주요 산지대륙붕 퇴적층 안에는 유기물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어 석유와 천연가스가 형성되기 유리한 환경입니다. 실제로 세계 해양 석유의 약 30%가 대륙붕에서 생산..
빙하가 바위를 깎는 힘, 빙식 작용 – 빙하가 만든 지형의 종류 빙하가 바위를 깎는 힘, 빙식 작용 – 빙하가 만든 지형의 종류빙하는 단순히 얼음 덩어리가 아니라, 지구 표면을 조각하는 거대한 조각가입니다. 얼음이 이동하며 바위와 토양을 깎아내는 과정을 ‘빙식 작용’이라 부르며, 이로 인해 세계 곳곳에 독특한 지형이 형성됩니다. 이러한 지형은 현재 빙하가 존재하는 지역뿐 아니라, 과거 빙하가 덮었던 땅에서도 발견됩니다.빙하는 거대한 압력을 가진 얼음이 바닥 암석과 마찰하며 표면을 갈아내고, 얼음 속 자갈과 모래가 사포처럼 작용해 암석을 더욱 날카롭게 다듬습니다. 그 결과 산맥과 계곡은 물론, 바다와 호수의 지형까지 변화하게 됩니다.1. 빙하의 힘: 빙식 작용의 원리빙하는 수십~수백 미터 두께의 얼음이 중력에 의해 천천히 흘러내립니다. 이 과정에서 빙하 아래 깔린 암석..
초음속 제트기류의 비밀 – 상공 10km 바람이 날씨를 바꾸는 이유 초음속 제트기류의 비밀 – 상공 10km 바람이 날씨를 바꾸는 이유하늘 위,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없는 곳에서 지구 전체의 날씨를 움직이는 거대한 바람이 존재합니다. 이를 제트기류(Jet Stream) 라고 부르며, 특히 초속 50m를 넘는 강력한 바람은 지구 기후의 ‘지휘자’와도 같습니다. 이 바람은 단순히 구름을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폭우와 가뭄, 폭설과 더위까지도 만들어내는 주범이자 조절자입니다.제트기류는 주로 상공 약 10km 부근의 대류권 상층에서 발견되며, 지구를 둘러싸듯 띠 모양으로 흐릅니다. 항공기 조종사들이 경로를 설계할 때 반드시 참고하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제트기류의 움직임은 우리가 체감하는 날씨 변화의 핵심 메커니즘과 직결되어 있습니다.제트기류의 형성과 속도제트기..
지구에 쌓이는 양 – 매일 떨어지는 ‘작은 운석비’ 지구에 쌓이는 양 – 매일 떨어지는 ‘작은 운석비’― 눈에 보이지 않는 우주의 먼지가 만드는 지구의 이야기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별똥별이 스쳐 지나가는 장면을 가끔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우리가 보지 못하는 사이, 지구에는 매일 수십 톤에서 수백 톤의 ‘작은 운석비’가 내리고 있습니다.이는 인류의 육안으로는 잘 인식되지 않는 우주 먼지이자, 태양계 형성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물질의 순환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1. 운석비란 무엇인가운석비는 우주 공간에 떠다니던 미세한 암석 조각과 금속, 먼지가 지구 대기에 진입하며 떨어지는 현상을 뜻합니다.흔히 운석이라 하면 손바닥보다 큰 돌을 떠올리지만, 실제로는 대부분의 운석이 모래알보다 작습니다.이 미세 운석들은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강한 마찰열로 표면이 녹아, 둥글고..
호수의 색이 변하는 이유 – 광물, 조류, 기후 변화의 영향 호수의 색이 변하는 이유 – 광물, 조류, 기후 변화의 영향― 대자연이 물에 그리는 신비로운 팔레트호수는 단순히 물이 고여 있는 장소가 아니라, 그 안에 다양한 생물과 화학 물질이 공존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작은 지구 시스템입니다.우리가 호수를 바라볼 때 그 색이 때로는 맑은 청록색, 때로는 짙은 청색, 혹은 녹색이나 갈색으로 보이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이러한 색 변화 뒤에는 과학적으로 설명 가능한 원인이 숨어 있습니다.1. 빛과 색의 기본 원리호수의 색은 빛의 산란과 흡수에 의해 결정됩니다.순수한 물은 파란색 계열의 빛을 잘 반사하고, 빨간색 계열의 빛은 흡수하는 특성이 있습니다.그러나 실제 호수는 ‘순수한 물’만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물속에 섞인 광물, 미생물, 유기물의 종류와 양..
순환류: 바닷속의 ‘해양 컨베이어 벨트’ – 해류와 기후의 연결 고리 순환류: 바닷속의 ‘해양 컨베이어 벨트’ – 해류와 기후의 연결 고리― 지구를 숨 쉬게 하는 거대한 바다의 흐름지구의 표면 중 약 71%를 차지하는 바다는 단순히 물이 가득 찬 공간이 아닙니다.그 속에서는 끊임없는 움직임과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해양 순환류’입니다.해양 순환류는 바닷속의 거대한 컨베이어 벨트와 같습니다.차갑고 밀도가 높은 물은 가라앉고, 따뜻하고 가벼운 물은 위로 올라오며, 이 과정이 전 지구를 도는 흐름을 형성합니다.1. 해양 순환류의 기본 원리해양 순환류는 크게 두 가지 힘에 의해 움직입니다.첫째는 바람에 의해 표층 해수가 이동하는 ‘풍성 순환’이고, 둘째는 해수의 밀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열염 순환’입니다.밀도 차이는 해수의 온도와 염분 농도..

반응형